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푸르른 날에

덤프버전 :


신시컴퍼니 제작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시 렌트.png파일:신시 시카고.png파일:임컬처 틱틱붐.png파일:신시 유린.png
2000200020012002
파일:신시 맘마.png파일:신시 블브.png파일:신시 아이다.png파일:신시 댄싱.png
2004200420052007
파일:신시 헤어.png파일:신시 푸날.png파일:신시 레드.png파일:신시 고스트.png
2007201120112013
파일:신시 아리랑.png파일:신시 에포베.png파일:신시 빌리.png파일:신시 마틸다2.png
2015201620172018
2시 22분 - A GHOST STORY파일:신시 싯터.png
2023
※문서 등록된 공연만 기재함. (내한 공연 제외)


푸르른 날에
파일:11푸날.jpg
제작남산예술센터, 신시컴퍼니
연출고선웅
극본정경진
각색고선웅
드라마터그김민정
음악김태경
공연장초연: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재연: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삼연: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사연: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오연: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공연 기간초연: 2011.05.10 ~ 2011.05.29
재연: 2012.04.21 ~ 2012.05.20
삼연: 2013.05.04 ~ 2013.06.02
사연: 2014.04.26 ~ 2014.06.08
오연: 2021.04.09 ~ 2021.05.09
관람 시간110분

1. 개요
2. 시놉시스
3. 등장인물
4. 줄거리
5. 출연진
5.1. 2011년 공연
5.2. 2012년 공연
5.3. 2013년 공연
5.4. 2014년 공연
5.5. 2015년 공연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창작 연극.


2. 시놉시스[편집]


녹차밭이 보이는 암자에서 수행 중인 승려 여산(과거 오민호)은 조카이자 '딸'인 운화의 결혼 소식을 듣는다.

그의 기억은 30여 년 전 전남대를 다니던 야학 선생 시절로 돌아간다. 당시 민호는 전통찻집 아르바이트생인 윤정혜와 사랑에 빠져 있었고, 정혜의 동생 기준은 민호를 친형처럼 의지하고 있었다.
5월 18일 광주민주화 항쟁이 터지고, 그 소용돌이 속에 정혜는 민호를 떠나보내고 도청을 사수하던 민호와 기준은 운명이 나뉘게 된다. 살아남기 위해 비겁한 자가 된 민호는 고문 후유증과 함께 정신이상을 겪고 삶을 포기한다. 자신을 들여다볼수록 진흙탕이고 거부하고 싶은 생. 결국 민호는 속세의 자신을 버리고 불가에 귀의한다. 민호와 정혜 사이에 생긴 딸 운화를 친형 진호가 거두었지만, 세월이 흘러 운화의 결혼에 이르러서는 끊을 수 없는 속세의 인연에 애달파한다.


3. 등장인물[편집]


  • 여산
  • 老정혜
  • 오민호
  • 정혜
  • 오진호
  • 일정
  • 이상무
  • 윤기준
  • 오운화
  • 조사관
  • 최중사
  • 시민군1
  • 시민군2
  • 시민군3
  • 시민군4
  • 간병인
  • 왕배
  • 아이
  • 건달1
  • 건달2
  • 메가폰


4.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 출연진[편집]



5.1. 2011년 공연[편집]


2011.05.10 ~ 2011.05.29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여산: 김학선
老정혜: 정재은
오민호: 이명행
정혜: 양영미
오진호: 박윤희
일정: 이영석
윤기준: 조영규
오운화: 최광희


5.2. 2012년 공연[편집]


2012.04.21 ~ 2012.05.20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여산: 김학선
老정혜: 정재은
오민호: 이명행
정혜: 조윤미
오진호: 박윤희, 정승길
일정: 이영석
이상무: 장성익
윤기준: 조영규
오운화: 최광희
조사관 외: 이정훈
최중사 외: 김명기
시민군1 외: 유병훈
시민군2 외: 김성현
시민군3 외: 견민성
시민군4 외: 강대진
간병인: 손고명
왕배: 남슬기
아이 외: 홍의준
건달2 외: 김영노


5.3. 2013년 공연[편집]


2013.05.04 ~ 2013.06.02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여산: 김학선
老정혜: 정재은
오민호: 이명행
정혜: 조윤미
오진호: 정승길
일정: 이영석
이상무: 호산
윤기준: 조영규
오운화: 김정현
조사관 외: 이정훈
최중사 외: 김명기
시민군1 외: 유병훈
시민군2 외: 김성현
시민군3 외: 견민성
시민군4 외: 강대진
간병인 외: 손고명
왕배: 남슬기
아이 외: 홍의준
건달2 외: 김영노


5.4. 2014년 공연[편집]


2014.04.26 ~ 2014.06.08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여산: 김학선
老정혜: 정재은
오민호: 이명행
정혜: 조윤미
오진호: 정승길
일정: 이영석
이상무: 호산
윤기준: 조영규
오운화: 채윤서
조사관 외: 이정훈
최중사 외: 김명기
시민군1 외: 유병훈
시민군2 외: 김성현
시민군3 외: 견민성
시민군4 외: 강대진
간병인 외: 손고명
왕배: 남슬기
아이 외: 홍의준
건달2 외: 김영노
메가폰: 김민서


5.5. 2015년 공연[편집]


2015.04.29 ~ 2015.05.31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여산: 김학선
老정혜: 정재은
오민호: 이명행
정혜: 조윤미
오진호: 정승길
일정: 이영석
이상무: 호산
윤기준: 조영규
오운화: 채윤서
조사관 외: 이정훈
최중사 외: 김명기
시민군1 외: 유병훈
시민군2 외: 김성현
시민군3 외: 견민성
시민군4 외: 강대진
간병인 외: 손고명
왕배: 남슬기
아이 외: 홍의준
건달2 외: 김영노
메가폰: 김민서


6. 기타[편집]




7. 둘러보기[편집]


고선웅 작/각색/윤색
[ 펼치기 · 접기 ]



5.18 민주화운동
[ 펼치기 · 접기 ]

전개5.17 내란 · 배경 및 전개 · 계엄군의 학살
관련 인물
및 단체
진압 및
왜곡 관련
전두환 · 노태우 · 정호용 · 황영시 · 이희성 · 최세창 · 박준병 · 하나회 · 주영복 · 신군부 · 지만원 · 김대령 · 이주천 · 서석구 · 김진태 · 이종명 · 김순례
저항 관련윤상원 · 박남선 · 정상용 · 조비오 · 박관현 · 윤한봉 · 김완섭 · 광주시민 · 투사회보 · 시민군
목격자위르겐 힌츠페터 · 헤닝 루모어 · 인요한 · 김영택 · 김사복 · 조갑제 · 정동영 · 서청원 · 서정갑 · 심재철
피해자사상당한 경찰과 시민 · 김경철
사건 사고5.18
관련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 · 광주교도소 습격 조작 사건 ·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일반임을 위한 행진곡/논란 · 광주 폭격 시도 논란 · 전두환 손자 폭로 사건 (전우원)
왜곡 관련5.18 민주화운동/왜곡 (북한개입설 · 무장폭동설) · 광주민주화운동 진보편향 명칭설 · '5.18 광수' 날조 논란
5.18 연고대생 북한간첩설 · 5.18 북한개입설 보도사건 (채널A · TV조선) ·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 · 전두환 회고록
기타창작물에서의 묘사 · 5.18 사적지 ·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 5.18 특별법 · 5.18 관련 의문점 · 임을 위한 행진곡 · 화려한 휴가 · 택시운전사 · 오월의 노래 · 오월의 청춘 · 검정 고무신과 함께 하는 기영이의 5.18 여행 · 관련 자료김남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7:01:01에 나무위키 푸르른 날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